욕실 타일 추천
안녕하세요 오늘은 욕실 타일에 관련해서 이야기를 한번 해보려고 합니다 욕실 타일은 단순하게 도기질 즉 유리 타입의 타일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타일을 가지고 있고 타일들마다 특성이 강하기 때문에 종류를 알아보고 어느 환경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을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자기질 타일
자기질 타일은 방수기능이 뛰어나고 강도가 강한 타일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욕실보다는 외벽에 주로 사용하는 타일 종류 중 하나입니다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두툼하고 무거워서 시공하기도 쉽지 않은 타일 군중 하나입니다 그 말은 시공비용이 비싸다는 것이죠 가장 큰 문제는 색상 표현을 하는데 제한적이라 외부벽면이나 테이블 등에 주로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
2. 도기질 타일
도기질 타입은 자기질보다는 약한 타일입니다. 중요한것은 수분을 흡수하는 타일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욕실에서 사용하기보다는 카페 등의 아트월에도 주로 활용이 되는 타일 중 하나입니다 물론 테이블에도 자주 사용되는 테이블입니다 결론적으로 자기질과 도기질 타일은 테이블과 아트월에 주로 사용되는 타일입니다.
3. 폴리싱 타일
폴리싱 타일은 대리석과 비슷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광택이 많이나고 온기를 머금고 있는 타일이기 때문에 바닥에 자주 사용되는 타일 중 한 타일입니다 물론 화장실 벽면에서도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 사람이 없는 동안에는 집의 냉기를 머금고 있다는 점을 참고하시기 좋을 것 같습니다 주로 방바닥에도 주로 사용되는 타일입니다. 가장 큰 당점은 거실에 사용할 경우 물건을 떨어트릴 경우 깨지는 경우도 있고 미끄러운 것이 단점입니다.
4. 포세린 타일
유약처리를 하지 않은 포세린 타일은 메트한 질감을 가지고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내구성이 높은 것 또 장점 중 하나인 제품이고 미끄러지지 않는 메트 한 느낌이기 때문에 바닥에 주로 사용되는 타일 중 하나입니다 고급스러움을 표현하기 좋은 타일입니다 최근 뜨는 트렌드라고 불리는 만큼 바닥 시공에 자주 사용되고 미끄럽지 않기 때문에 최근에는 폴리싱보다는 포세린 타일을 주로 사용합니다 ( 광택 = 폴리싱, 무광택 = 포세린 )
5. 모자이크 타일
모자이크 타일은 주로 타일 벽면에 자주 사용됩니다 모자이크 타일을 이용하면 북유럽풍의 느낌 프로망스의 디자인 느낌을 살리기가 좋습니다 중요한 건 메탈이나, 거울, 유리, 자기질 등으로 다양하게 나온 제품군중 하나이고 이 제품은 자가 시공도 유리하기 때문에 다양한 색감을 원하시는 분들이나 북유럽풍 빈티지한 느낌을 원하신 다면 얼마든지 사용하기 좋은 타일입니다.
6. 메탈 타일
티타늄, 알루미늄 등으로 급속소제를 모자이크 타일 형태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워낙 고가의 제품이기 때문에 아트월이나 화장실 한쪽 벽 등에 활용하는 것이 기본이고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곳은 호텔 로비에 폴리싱 타일과 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타일 군중 한 타일입니다 강하고 차가운 느낌을 주지만 고급스러움을 가장 많이 나타내는 타일 중 하나입니다.
7. 석기질 타일
석기질 타일은 기본적으로 점토등으로 만들어낸 타일입니다 수분을 흡수하는 타일이기 때문에 욕실용으로 사용하지 않지만 최근 카페나 호텔 로비 등에서 바닥 벽 타일로 자주 사용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내구성이 강하기 때문에 소박한 느낌이나 매트한 느낌을 주기 가장 좋은 제품 중 하나입니다. 건식 화장실을 꾸밀 생각이 있으시다면 좋은 제품입니다 다만 물청소는 불가능합니다
8. 석재타일
석기질 타일과는 다르게 돌과 자기질 타입을 혼합하여 사용되는 타일로 항균효과와 반영구적인 타일입니다. 중요한 점은 색감이 다채로워 디자인적으로 표현하기가 좋고 바닥에 사용하기 좋은 제품입니다. 주로 화강석 대리석 바닥으로 욕실이나 테라스를 꾸미시는 분이라면 석재타일이 주로 사용된다는 것을 아실 것입니다.
'인테리어 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엌인테리어 노하우 정리 (0) | 2021.05.18 |
---|---|
거실 인테리어 트렌드와 디자인 (2) | 2021.04.06 |
인테리어 피해야할 색 [풍수인테리어] (1) | 2021.03.23 |
인테리어 컬러 조합과 기법 (0) | 2021.03.22 |
인테리어 용어 정리 (0) | 2021.03.22 |